일상

1300원대, 달러가 최근 많이 오르는 이유(feat.김단테님)

개발자 초롱이 2024. 1. 17. 23:58
💵달러 환율 상승의 이유는?

한국에서 현재 1달러는 1346원 정도이며, 달러에 대한 수요가 많아져서 금리 차이로 인해 더 유리한 달러 빌리기를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FOMC 인사들의 발언과 불확실한 경제 상황 등으로 인해 미국 국채 금리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경제의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달러 환율 상승의 이유들이 된다고 합니다.

미국과 예멘의 안정성 위축으로 물류비용 증가, 금리 인상 고민의 이유는?

중동 지역 예멘의 후티 반군으로 인해, 중요한 외국 무역지점 중 하나인 홍해지역의 운송비가 급격히 상승하죠.

이에 인플레이션이 상승함에 따라 금리도 높아지게 되고, 한국과의 금리 차이도 발생할 예정이에요.

이를 고려해 미래의 경제적 불황 대비와 금융상품 구매 시점 선택이 중요해졌어요.

이슈가 과거와 같이 조용해질 때까지 미국, 예멘 상황을 지켜봐야 하고, 금리 인상과 환율 변동 등 경제적 요인에서 발생하는 위험성 및 부작용 대응을 고려해야 해요.

한반도 상황이 악화되면 어떤 위험이 존재할까?

북한의 태도가 공격적으로 바뀌면서 김정은이 '한국은 주적으로 대해야 한다'는 발언으로 강한 경계심을 보이고 있어 전문가들은 핵전쟁 위험성을 경고해요.

한국은 전쟁 발발 시 가장 피해를 많이 보는 국가로 지목되어 국제사회에서 평판이 해칠 수도 있어요.

또한 대만의 총통이 반중이기에 중국의 침공 시 대만을 지켜낼 수 없다면 한반도 상황이 더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어요.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우리나라의 안전 여부를 의심할 수도 있어요.

한국에서 거주한 적 있는 외국인들도 전쟁 가능성에 대한 걱정을 표하며 자주 질문받아요.

한국과 대만이 받을 반도체 쇼크의 영향은?

대만의 하이엔드 반도체 생산 라인이 멈출 것이고, 저사양 칩을 사용하는 자동차 및 기타 부문도 피해를 입을 것입니다.

반도체는 TSMC에서 생산하는 비메모리 반도체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서 생산하는 메모리 반도체로 구분되며, 서로 다른 분야에서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TSMC가 위기에 빠진다면,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만들 수 없게 되므로 한국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한국의 또 다른 이슈인 PF(프라이빗 파이낸싱) 사업도 문제가 있으며,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에서 사업성이 낮아졌기 때문에 돈을 더 이상 빌릴 수 없고, 원래 빌렸던 돈을 회수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이 PF 문제로 위기에 처한 이유는?

PF 문제로 건설사들이 얽히게 되었죠.

그 이유는 지급 보증이나 대출을 해주기 때문이에요.

태용건설이 현재 큰 문제로 떠오르고, 다른 건설사들도 예상되는 위기 상황에 놓여있으며, 한화증권은 PF와 달러 위험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어요.

기타 건설사들의 문제로 인해 한국의 전체 경제가 불황에 빠지고, 이에 따라 원화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죠.

위기가 예상되는 다른 건설사는 롯데건설 등이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불안감이 커져있어요.

외환시장의 이슈 및 영향

달러가 강세인 이유는 계속되는 금리 차이, 매파적인 연준, 홍해 이슈, 북한의 도발, 대만 총통 선거와 관련이 있어요.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로 인해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하게 되면 한국의 수출 경기가 좋아질 수 있답니다.

북한 도발은 일상적인 현상이며, 대만 총통 선거는 중국의 공세를 받으며 대만의 방어가 어려운 이유로 꼽힙니다.

부동산 PF와 관련된 부담은 이미 정부도 인지하고 있어요.

또한, 원화로 된 부채는 꾸역꾸역 가늠할 수 있죠.

아무래도 달러의 강세는 단기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너무 강세도 우리나라에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합니다.

 

영상 원본

https://www.youtube.com/watch?v=hrKgAwkpTRI

3줄 요약

1. 💰 미국과 예멘의 안정성 위축으로 인한 물류비용 증가, 금리 인상 고민
2. ️🔥한국 반도체 쇼크 및 한반도 상황이 악화되고 국제사회에서의 평판을 해칠 위험이 있다.
3. 🏗️건설사들이 PF 문제로 위기에 처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