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 Server
1. 사용자 추가 adduser [username] # 비밀번호 설정 passwd [username] # sudo 권한 부여 usermod -aG wheel [username] 2. 사용자 삭제 userdel [username] ex) userdel 3vi
· Server
- 리눅스 우분투 기준 # 명령어 입력 전 확인 arp -a ip -s -s neigh flush all # 결과 확인 arp -a
· Server
#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다름 while :; do echo 'Hit CTRL+C'; sleep 1; done while true; do echo 'Hit CTRL+C'; sleep 1; done bash 및 sh, csh 전부 호환됩니다
· Server
윈도우 1. powershell # TCP Get-NetTCPConnection # UDP Get-NetUDPEndpoint # 특정 프로세스 Get-Process -Id 1234 2. cmd netstat -ano 리눅스 #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는 netstat -anlpt | grep [포트번호] # 포트 번호로 프로세스랑 같이 확인할 때 자주 사용
· Server
"삼바" 라고 편의상 한국어로 적는다 리눅스 윈도우 가 같은 망에 있어서 삼바를 리눅스에 설치 하였는데 윈도우에서 리눅스 삼바가 표시되지 않는다 두구두구두구두구 왜 안되는지 살펴보니 [global] server min protocol = SMB2 위 부분이 명시적으로 없으면 윈도우에서 보안 이슈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 Server
GlusterFS와 Ceph는 모두 오픈 소스 분산 파일 시스템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이다 이 두 시스템은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설계 철학, 아키텍처, 성능 특성, 그리고 사용 용이성 측면에서 서로 다르며. 이러한 차이점을 비교하는 것은 사용자의 특정 요구 사항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선택하는데 참고하기 바란다 GlusterFS 아키텍처: GlusterFS는 파일 시스템의 스택에 연결되어 사용자 공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이는 기본 파일 시스템 위에 구축되며, POSIX 호환 파일 시스템을 제공 확장성: 수천 개의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며, 스토리지 용량은 수십 페타바이트까지 확장 가능 사용 용이성: 설치와 관리가 비교적 단순하며, 기존 하드웨어와의 호환성 우수 적용..
개발자 초롱이
'Server'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top